<문화재 답사 왕릉 4> 무열,김양, 김인문 태종무열왕릉(사적 제20호) 신라 제29대 태종 무열왕(재위 654~661)을 모신 곳으로 선도산에서 남쪽으로 뻗은 구릉의 끝에 위치해 있다. 무열왕의 이름은 김춘추로 그는 왕위에 오르기 전부터 활발한 외교활동을 펼치고 내정개혁을 주도하여 김유신과 함께 삼국통일의 기반을 닦았으며, 왕.. 문화재 답사 2019.11.04
<문화제 답사 왕릉 3>김유신,내물왕릉,월정교 김유신의 묘 송화산(松花山) 줄기가 동쪽으로 뻗어 전망이 좋은 구릉 위의 울창한 소나무숲 속에 자리잡고 있다. 1963년 1월 21일 사적 제21호로 지정되었다. 김유신묘는 지름이 30m에 달하는 원형의 큰 무덤이다. 봉분 둘레에는 둘레돌〔護石〕을 두르고 그 외곽에는 바닥에 깐돌〔敷石〕을.. 문화재 답사 2019.10.08
<문화재 답자 왕릉 2>지마왕릉,정시 시조묘 정씨 시조묘 경상북도 경주(慶州)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정씨의 도시조(都始祖)는 신라 초기 6부 가운데 본피부(本彼部:觜山 珍支村)의 촌장이던 지백호(智伯虎)라는 것이 통설이며 이른바 범정씨(汎鄭氏)의 '큰 집'격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씨상계세보(鄭氏上系世譜)》.. 문화재 답사 2019.10.08
<문화재 답사 왕릉1>오릉,양산재,일성왕릉 오릉 사적 제 172호인 오릉은 신라 시조왕인 박혁거세왕과 왕비 알영부인, 제2대 남해왕, 제3대 유리왕, 제5대 파사왕 등 신라초기 박씨왕 네 명과 왕비 한 명을 한 자리에 모셨다고 하여 오릉이라 한다. 오릉 동편에는 지금도 시조왕의 위패를 모시는 숭덕전이 있으며, 그 뒤에는 알영부인.. 문화재 답사 2019.09.09
<문화재 답사 37> 경덕왕릉, 백운대 마애불입상 경덕왕릉, 백운대 마애불입상(마석산) 답사일 : 2018년 11월 13일 경주시 내남면 부지리 내남초등학교 근처 경덕왕릉을 찾아가는 길. 사철이 푸르른 소나무 숲을 지나게 되는데 기분까지 좋아진다. 이곳의 소나무는 특이하게도 곧지않고 구불구불 자란다. 한적함과 고요히 걷는 길, 시간을 .. 문화재 답사 2019.01.24
<문화재 답사 36> 경주남산 지암곡 제3사지 삼층석탑 경주남산 지암곡 제3사지 삼층석탑 경상북도 경주시 남산동에 있는 삼층석탑으로 2012년 10월 22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449호로 지정되었다 지암곡 제3사지는 경주 남산의 동록(東麓)에 위치한다. 사자봉에서 동남쪽으로 뻗어 내린 능선의 해발 310m 지점의 평탄한 지역으로, 큰지바위 .. 문화재 답사 2019.01.09
<문화재 답사 35> 무장사 무장사 답사일 : 2018년 10월 30일 태종 무열왕(김춘추)이 삼국을 통일한 후 병기와 투구를 암곡동 골짜기에 묻었고,훗날 그곳에 사찰이 들어서자 병기와 투구를 묻은 땅이라는 의미로 무장사로 불렀다는 곳..스토리가 비장한 무장사를 답사했다. 무장사지 주차장에 주차후 덕동천 옆으로 .. 문화재 답사 2018.11.09
<문화재 답사 34> 탑 답사 (영양, 안동) 답 답사 (영양, 안동) 답사일 : 2018. 10. 3 가을이 물씬 느껴지는 10월, 경북 영양과 안동으로 탑 답사를 나섰다. 영양은 모전석탑 여러 개가 있는 곳이라 막연히 한 번 가보리라 작정했던 곳이다. 모전탑은 돌을 벽돌 모양으로 깎아서 쌓아 올린 탑으로 경주의 분황사 석탑이 대표적이다. 삼.. 문화재 답사 2018.11.01
<문화재 답사 33> 구정동 방형분, 효소왕릉, 성덕왕릉, 신문왕릉 구정동 방형분, 효소, 성덕왕릉, 신문왕릉 답사일 : 2018. 9. 4 9월의 초입, 벌써 가을이 성큼 느껴진다. 100일간 꽃을 피우기에 백일홍이라고 부르는 배롱나무꽃이 여름의 막바지를 화려하게 장식하고 있다. 경주의 가을은 유달리 더 푸르고, 붉고 화려한 것 같다. 구정동 방형분과 효소왕릉.. 문화재 답사 2018.09.10
<문화재 답사32> 나정, 남간사지, 창림사지 나정, 남간사지, 창림사지 답사일 : 2018년 8월 28일 유난히 무더위가 기승을 부렸던 2018년 여름의 끄트머리.. 무엇이든 시작할 수 있을것 같은 가을의 초입, 다시 경주로 갔다. 비가 살짝 뿌렸지만, 바람에서 제법 계절의 변화가 느껴져서 더욱 좋았다. 신라의 천 년 흥망성쇠의 자취가 남아 .. 문화재 답사 2018.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