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은사지 (국가 사적 제31호)
경주 토함산에서 흘러내려 동해바다로 흘러가는 대종천이 용이 머물렀다는 용다리 앞을 지나는 자리에 세워진 감은사지...
신라 문무왕이 당나라의 힘을 빌려 고구려와 백제를 멸한뒤 새 나라의 위엄을 세우고, 왜구를 부처의 힘으로 막아내고자 이곳에 절을 세우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절이 다 지어지기도 전에 문무왕이 죽자, 그 뜻을 이어받아 아들인 신문왕이 왕위에 올라 2년 뒤인 682년에 완공하게 된다.
신문왕은 동해의 용이 되어 나라를 지키겠다는 서원을 세운 부왕에 대한 감사의 보답으로 '감은사'라고 사찰명을 지었다.
삼국사기에 문무왕은 "내가 죽으면 바다의 용이 되어 나라를 지키고자 하니, 화장하여 동해에 장사지내라"고 유지를 남겼다고 전해온다.
문무왕과 신문왕의 호국사상이 구현된 감은사지 삼층석탑은 두 개의 탑의 높이가 13.4m로 불국사 석가탑에 비해서 장중하면서도 기백이 넘치는 탑이다.